국가채무와 부채의 이해

D1, D2, D3 개요

정부는 국가채무(D1),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 3가지 부채통계를 발표하고 있으며, 각각 다른 용도와 산출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부채 유형별 통계 현황

부채 유형별 통계 현황의 유형, 규모, 포괄범위, 산출기준, 활용 정보를 제공합니다.
유형 `21년 규모 (GDP 대비) 포괄범위 산출기준 활용
국가채무(D1) 970.7조원(46.9%) 중앙 및 지방정부의 회계·기금 국가재정법, 현금주의 국가재정 운용계획
일반정부 부채(D2) 1066.2조원(51.5%) D1 + 비영리공공기관 국제지침(PSDS), 발생주의 국제비교(IMF, OECD)
공공부문 부채(D3) 1,427.3조원(68.9%) D2 + 비금융공기업 국제지침(PSDS), 발생주의 공공부문 재정건정성 관리
  • 1국가채무(D1)

    국가채무(D1)는「국가재정법 」에 따라 국채, 차입금, 국고채무부담행위로 구성되며 정부 전체의 채무규모 파악을 위해 지방정부 채무, 교육자치단체 채무도 포함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정부예산 및 국가재정운용계획이 현금주의 방식으로 편성됨에 따라 현금주의 기준으로 산출하며, 주로 예ㆍ결산시 정부 채무관리 목표 설정 및 실적점검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2일반정부 부채(D2)

    정부는 국가채무(D1) 이외에 2011회계연도 결산부터 IMF, OECD 등 국제기구가 국제기준(PSDS*)에 따라 공공기관 부채까지 포괄하는 일반정부 부채(D2) 및 공공부문 부채(D3)를 매년 12월경 산출ㆍ발표하고 있습니다.
    D2, D3는 발생주의 기준으로 공공부문 내 상호 내부거래를 제거하여 산출합니다.
    이 중 일반정부 부채(D2)는 중앙 및 지방의 회계ㆍ기금 부채에 비영리공공기관 부채를 포함(D2=D1+비영리공공기관 부채)하여 산출하며, IMF, OECD 등 국제기구에서 국가간 부채수준 비교시 일반정부 부채(D2)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PSDS(Public Sector Debt Statistics): 국제비교가 가능한 신뢰성있는 채무정보 산출을 위해 IMF, OECD 등이 2012년 공동 제정한 부채통계 작성 지침서
  • 3공공부문 부채(D3)

    공공부문 부채(D3)는 일반정부 부채(D2)에 비금융공기업 부채를 합하여(D3=D2+비금융공기업 부채) 산출되며, 공공부문 전반의 재정건전성 관리지표로 활용중입니다. 다만 공공부문 부채를 산출하는 국가가 OECD 회원국 중 8개국에 불과하여 유의미한 비교지표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4국가결산 재무제표상 부채

    정부는 「국가회계법」에 따라 국가결산 시 재무제표상 부채도 산출하고 있습니다. 국가채무(D1)와 재무제표상 부채는 포괄범위, 인식기준, 내부거래 제거여부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국가채무(D1)는 정부 관리기금 및 지방정부 채무를 집계하는 반면, 재무제표상 부채는 정부 관리기금 및 공공기관 관리기금 채무를 포함하고, 지방정부 채무는 제외하고 있습니다.
    국가채무(D1)는 현금주의 기준으로 채무를 집계하는 반면, 재무제표상 부채는 발생주의 기준으로 부채를 인식하고, 연금충당부채 등 비확정 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무제표상 부채는 정부관리 회계ㆍ기금과 공공기관 관리기금과의 거래, 국민연금기금 등이 보유한 국ㆍ공채 등 내부거래를 제거하여 산출합니다.

  • 현금주의
  • 중앙재정채무(국가재정법상 국가채무)+지방재정채무
  • 국가채무(D1)
  • 재정은 회계·기금을 의미
  • 발생주의
  • 중앙재정부채(연금총당부채 등 제외) + 연금충당부채 등 = 재무제표상 부채
  • 중앙재정부채(연금총당부채 등 제외) + 지방재정부채
  • +비영리공공기관 부채
  • 일반정부 부채(D2)
  • +비금융공기업 부채
  • 공공부문 부채(D3)
waitimage